-
글로벌 기업들, '트럼프 복수세' 반발…"무역전쟁 새 전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일부 외국인 투자 이익에 이른바 '복수세' 부과를 추진 중인 가운데, 글로벌 대기업들이 이번 주 미 상원의원들을 만나 반대 목소리를 낼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내 다국적기업 이익을 대변하는 세계기업연합(GBA)의 조너선 샘퍼드 회장은 약 70개 기업 대표가 이번 주 워싱턴에서 의원들을 만나서 해당 법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06-09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진보의 아성으로 평가되는 캘리포니아주에 연방자금을 대거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백악관은 연방정부에서 나오는 광범위한 자금을 표적으로 삼아 캘리포니아주에 대한 재정지원을 재검토하라고 다수 연방기관에 지시했다.
2025-06-09
-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단속으로 노동시장이 압박을 받으면서 미국의 식당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 전역의 식당 경영주들을 인용해 이민 당국이 지난달 워싱턴에 소재한 100곳이 넘는 업소를 점검하는 등 이민자 단속을 강화하면서 식당들이 인력 부족에 대비하고 있다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06-09
-
트럼프발 무역전쟁 와중에 중국의 과잉 생산이 아시아 국가들에 또 다른 압박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고 미국 경제 매체 CNBC가 최근 보도했다. 미중 무역전쟁에 내수 부진이 겹친 중국의 저가 제품들이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2025-06-09
-
"李대통령, 국정 잘할 것" 58.2%…우선 과제에 경제회복 41.5%
정당 지지도, 민주당 48. 0%·국민의힘 34. 8%…"직전 조사보다 격차 벌어져". 국민 10명 중 6명 정도가 이재명 대통령이 국정 수행을 잘할 것으로 전망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4∼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1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전망에 대해 응답자 58.
2025-06-09
-
美, 12개국 대상 입국 금지령 발효…"기존 비자 소유자는 제외"
이란 등 12개국을 대상으로 한 미국 입국 금지 조치가 9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된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이란과 예멘,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차드, 콩고공화국, 적도기니, 에리트레아, 아이티, 리비아, 소말리아, 수단 등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포고령에 서명했다.
2025-06-09
-
시위진압에 軍투입 '정치적 노림수'…"트럼프, '내부의적' 찾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위 진압에 군대를 동원한 데에는 복합적인 정치적 노림수가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로스앤젤레스(LA) 일원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추방에 반발하는 시위가 이어지자 8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방위군을 투입했다.
2025-06-09
-
대선 전 결론 못낸 '사법신뢰·재판독립'…법관대표 30일 회의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로 촉발된 사법부 안팎 논란을 다루는 전국법관대표회의가 이달 30일 임시회의를 다시 열고 논의를 이어간다. 전국법관대표회의는 지난달 26일 진행한 임시회의의 속행기일을 오는 30일 오전 10시로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2025-06-09
-
미 연방정부의 불법체류자 집중 단속으로 촉발된 시위가 주 방위군등의 투입으로 LA가 그야말로 폭동 전운에 휩싸였다. 불법 이민자에 대한 미국 연방 정부의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가 LA에서 8일까지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정부 요원들이 시위대에 최루탄을 쏘는 등 불안한 상황이 지속하고 있다.
2025-06-09
-
LAX/메트로 환승센터역 개통. LAX 교통 정체 대폭 개선 기대!. LA카운티 메트로폴리탄 교통국(메트로)이 8일 LAX/메트로 환승센터(LAX/Metro Transit Center)역의 개통식을 진행했다. 이에따라 LA국제공항(LAX)을 들락거리는 남가주 주민들 대중교통을 통한 공항 접근이 가능해지고, 교통 정체 또한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