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공포지수 급등…손실에도 레버리지 투자에 돈 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미 증시 '공포지수'가 5년 만에 최고로 치솟은 가운데, 레버리지(차입) 투자 상품에는 막대한 손실에도 불구하고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옵션 계약에 기반해 변동성을 측정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가 이날 52.
2025-04-09
-
美, 중국·홍콩발 소액소포 관세 90%로 인상…테무 등 직격탄
미국에서 면세 혜택을 받아온 중국발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율이 오는 5월부터 대폭 인상돼 저가 상품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해온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큰 타격을 받게 됐다. 미중 무역전쟁 격화 속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폐지한 데 이어 9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고 블룸버그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9일 보도했다.
2025-04-09
-
트럼프 "이제 우리가 갈취할 차례…협상시까지 中에 104% 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등 관세 정책과 관련, "많은 나라들은 우리를 엄청나게 갈취했지만, 이제는 우리가 갈취(ripping off)할 차례"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진행된 공화당의회위원회(NRCC) 만찬 행사에서 "우리는 관세로 엄청난 돈을 벌고 있다.
2025-04-09
-
환율, 美 상호 관세 발효에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1,484.1원
원/달러 환율이 9일 미국 상호관세 발효에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가)는 전날보다 10. 9원 오른 1,484. 1원을 기록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12일(1,496.
2025-04-09
-
"100여년만 최고 관세"…세계 무역전쟁 방아쇠 당겼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현지시간) 발효되면서 세계 무역 질서는 중대한 도전을 맞게 됐다. 중국을 필두로 미국에 무역흑자를 내는 60여개국에 대해 10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의 관세 폭탄이 떨어지면서 각국 경제에 타격이 우려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909년 이후 10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이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2025-04-09
-
"베트남에 46%? 헛소리"…미국 억만장자들도 관세 비판 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영향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곤두박질치면서 투자자들을 '패닉' 상태로 내몰자 관세정책을 비판하는 미국 억만장자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공화당을 지지해온 인물들조차 거친 목소리로 미국의 관세가 지나치다며 하루빨리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5-04-08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 부과 전에 아이폰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으로 몰려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애플 직원은 매장이 휴대전화를 '패닉 바잉'(불안감에 의한 사재기)하려는 사람들로 붐볐다면서 "거의 모든 고객이 가격이 곧 오를지 물어봤다"고 말했다.
2025-04-08
-
트럼프발 25%의 관세 폭탄으로 한국 식음료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미국 내 생산 공장의 유무에 따른 희비다. 불닭볶음면으로 미국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은 삼양식품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관세로 인해 미국 수출품의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2025-04-08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폭탄'으로 글로벌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또다시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여 잡았다. 7일 골드만삭스는 12개월 안에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을 기존 35%에서 45%로 상향 조정했다.
2025-04-08
-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에서 당분간 자동차 가격을 동결하기로 했다. 미국 등 다른 나라 경쟁사들이 잇따라 차 가격을 인상하는 것과 사뭇 다른 전략을 펼치기로 하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미국이 4월 3일부로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 부과를 발효하면서 일부 경쟁사들은 향후 차량 가격을 인상키로 하거나 아예 일부 차종을 미국 판매를 중단키로 했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