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육군이 전투 병과 여군에게 남군과 똑같은 체력 기준을 요구하는 새 체력검정 기준을 마련했다. 미 육군은 이른바 '성 중립'을 반영한 육군체력시험(AFT)을 마련해 현행 육군전투체력시험(ACFT)을 대체한다고 22일 발표했다. 새 체력시험은 데드리프트, 팔굽혀펴기, 플랭크, 전력 질주와 중량 다루기, 2마일(약 3.
2025-04-24
-
美미네소타 검찰, 테슬라 차량 6대 훼손한 남성 불기소 논란
미국 미네소타주의 지방 검찰이 테슬라 차량 여러 대를 훼손한 혐의로 경찰에 붙잡힌 남성을 기소하지 않기로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고 미 언론이 22일(현지시간) 전했다. 미 CBS 방송과 폭스 뉴스 등에 따르면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경찰국은 최근 시내에서 최소 6대의 테슬라 차량을 훼손해 총 2만달러(약 2천900만원)가량의 재산 피해를 낸 혐의로 33세 남성 딜런 애덤스를 체포했다.
2025-04-23
-
美 한인 20대, '부정행위 AI'로 빅테크 면접통과…스타트업 설립
미국의 한 한인 20대가 자신이 개발한 '부정행위 AI'(인공지능)를 이용해 빅테크 인턴십 면접을 통과하고 스타트업을 설립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러나 해당 AI 도구가 누군가를 속일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AI 스타트업 '클루엘리(Cluely)'는 최근 530만 달러(약 75억 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2025-04-23
-
17세에 장진호전투 참가했다 실종 미군 병사, 75년만에 신원확인
17세 어린 나이에 한국전쟁에 참전해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미군 병사의 신원이 75년 만에 확인됐다. 22일(현지시간) 미국 국방부와 CBS뉴스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은 한국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앨버트 J.
2025-04-23
-
10대 독일인 2명, 숙소예약 안 됐단 이유로 하와이서 추방
관광차 하와이에 도착한 10대 독일인 두 명이 숙소를 예약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미국 당국에 의해 굴욕적으로 추방됐다고 영국 인디펜던트 등 외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세계 여행을 떠난 독일인 샤를로테 폴(19)과 마리아 레페레(18)는 지난달 18일 하와이 호놀룰루 공항에 도착했다.
2025-04-23
-
트럼프 정부 재정지원 끊자 현금 확보 나선 미국 명문대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학 길들이기'에 불응하는 대학들에 재정지원을 끊어버리자 이에 맞서 버티려는 명문 사립대들이 현금 확보에 나섰다. 프린스턴대는 3억2천만 달러(4천600억원) 규모의 대학 채권 판매를 22일(현지시간) 마무리했다.
2025-04-23
-
주한 미국대사관이 21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미국 비자를 신청하거나 전자여행허가제(ESTA) 신청서를 작성할 때는 정직이 최선”이라며 신청서 작성 및 인터뷰 시 사실대로 답변해달라고 당부했다. 대사관은 “경미한 범죄라도 법 위반 이력은 비자 거절이나 심지어 미국 입국 영구 금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영사들은 과거 위반 사항이나 체포 기록을 포함한 범죄 전력을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4-22
-
지난 2019년 텍사스주 엘패소 월마트 매장에서 총기를 난사해 23명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패트릭 크루시어스(26)가 연방 법원에 이어 텍사스주 법원에서도 종신형을 선고받아 결국 사형을 면했다. 21일 텍사스주 지방법원 크루시어스에게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했다.
2025-04-22
-
테러와 불법 이민 문제를 비롯해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미국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국토안보부의 수장이 워싱턴DC에서 식사하던 중 현금 3천달러가 든 가방을 도둑맞았다고 CNN이 21일 보도했다. 크리스티 놈(사진) 안보부 장관은 전날 저녁 워싱턴DC에서 햄버거로 유명한 식당인 '캐피탈버거'에서 자녀 및 손주들과 외식하던 중 지갑을 도둑맞았다.
2025-04-22
-
농심이 선보이는 특별한 레스토랑 협업 캠페인 ‘서울 인 터 시티’(Seoul in the City)가 19일부터 5월 3일까지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다. 이번 캠페인은 현지에서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는 코리안 레스토랑들과 함께, K-라면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인 미식 경험을 소비자에게 선사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