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美 "韓, GDP 5% 국방비로 지출해야"…약 2배로 증액 요구할듯

    올해 한국 국방비 GDP 2. 32%…美국방부 "아시아 동맹, 유럽 수준 맞추는 게 상식". 미국 국방부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동맹국들도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국방비를 지출해야 한다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미국 국방부의 션 파넬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연합뉴스의 질의에 답변으로 보내온 성명에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18일(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과 샹그릴라 대화(아시아안보대화)에서 말했듯이, 우리의 유럽 동맹들이 우리의 동맹, 특히 아시아 동맹을 위한 글로벌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며 "그것은 GDP의 5%를 국방에 지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관세·방위비' 한미외교 난제…李대통령, 나토서 실마리 찾을까

    한미 간 관세 협상과 방위비 분담금 등 외교·통상 분야 숙제들이 쌓여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어떻게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낼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이 다음 주로 예정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 한미 정상 간 회담을 추진하면서 첫 단추를 끼우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트럼프 또 변심…농장·호텔서 불법이민 노동자 단속 재개 지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법이민자 단속에서 농장과 호텔 등 이민자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업종을 제외하라고 지시했다가 며칠 만에 단속 재개 지침을 내렸다고 미 언론이 17일(현지시간) 전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국토안보부는 전날 산하기관인 이민세관단속국(ICE) 등 요원들에게 지난주 발령된 지침을 철회해 농장과 농업 관련 시설, 호텔, 식당 등에서 단속 작전을 계속 진행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 美민주당 소속 뉴욕시장 후보, 이민단속 문제제기하다가 체포돼

    미국 민주당의 뉴욕시장 경선 후보인 브래드 랜더 뉴욕시 감사관이 17일(현지시간) 이민세관단속국(ICE) 타깃 단속지역이 된 이민법원에서 연방요원들의 단속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다가 체포됐다. AP 통신, 뉴욕타임스(NYT) 등의 보도에 따르면 랜더 후보는 이날 뉴욕 맨해튼의 이민법원 복도에서 법원 심리를 마치고 나온 이민자 남성과 팔짱을 긴 채로 ICE 요원에게 영장 제시를 요구하다가 실랑이 끝에 체포됐다.

  • '한일정상 자리뒤 엇갈린 국기' 까닭은…"관례따라 日총리에 상석배려"

    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이시바 총리의 왼쪽 자리, 이시바 총리가 이 대통령의 오른쪽에 자리를 한 반면 양국의 국기는 이와 반대로 배치돼 눈길을 끈다.

  • 'G7 급거 귀국' 트럼프 "이-이 휴전 때문 아냐…훨씬 큰것 있다"

    캐나다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도중 귀국길에 오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귀국 이유와 관련해 "(이스라엘-이란 휴전보다) 훨씬 큰 것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 계정에 올린 글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내가 이스라엘과 이란 간 휴전 논의를 위해 G7 정상회의를 떠나 DC로 돌아간다는 잘못된 언급을 했다"면서 "틀렸다!"고 썼다.

  • G7 정상들 "세계경제에 심각한 해"…트럼프에 관세철회 촉구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1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개막한 가운데 G7 정상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 무역 전쟁을 완화하라고 촉구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의장국인 캐나다를 비롯해 G7 정상들은 다음 달부터 전 세계 국가들을 상대로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을 철회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 마이웨이하다 조기귀국 트럼프…'전쟁·관세논의 뒷전' G7 파행

    17일(현지시간)까지 이틀간 일정으로 진행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캐나다 앨버타주의 휴양도시 캐내내스키스에 모였던 정상들이 대부분이 결국 별다른 구체적 성과 없이 빈손으로 돌아가게 될 전망이다. 이들은 전쟁과 관세 등에 대한 논의에 진전이 있기를 희망했으나 대부분은 별다른 구체적 성과는 없이 의견 교환의 장에 참여한 데 만족해야 했다.

  • 트럼프 조기귀국에 한미정상회담 무산…"美측서 양해 구해"

    캐나다에서 열릴 예정이었던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으로 무산됐다고 대통령실이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캐나다 현지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갑자기 귀국을 하게 됐기 때문에 내일로 예정됐던 한미 정상회담은 (개최하기가)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 "北, 러에 공병·군사건설인력 6천명 파견키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쿠르스크주에 공병 병력과 군사 건설 인력 총 6천명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고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17일(현지시간) 밝혔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이날 북한을 방문한 쇼이구 서기는 평양에서 김 위원장과 만난 뒤 러시아 매체 기자들에게 이러한 면담 내용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