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링컨 '피 묻은 장갑' 152만불 낙찰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이 암살당한 1865년 4월 14일, 그의 주머니 속에 들어 있던 피 묻은 가죽 장갑 한 쌍이 최근 경매에서 152만 달러에 낙찰됐다. 지난 21일 시카고의 프리먼스·힌드먼 경매소에서 열린 링컨 유물 특별 경매에서 이 장갑은 가장 높은 관심을 끌며 낙찰됐다.

  • 8350만불 당첨자 소송…왜?

    텍사스주에서 8,350만 달러(약 1,140억 원) 상금의 복권에 당첨된 여성이 4개월이 지나도록 돈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그녀는 복권 판매 대행 서비스를 통해 복권을 구입했는데, 당국이 해당 서비스를 문제 삼으며 당첨금 지급을 미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 美, 보잉과 '7년전 인니여객기 추락' 2조원 잠정합의…유족 반발

    7년 전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라이온에어 여객기 추락 사고로 숨진 희생자들의 유족이 최근 미국 당국과 사고 여객기 제조사인 보잉의 잠정 합의 소식을 듣고 반발했다. 미국 법무부는 보잉이 안전 개선 비용과 유족 배상금으로 약 15억 달러(약 2조600억원)를 내는 대신 형사 책임을 면제해주기로 하자 유족들은 이번 합의가 정의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 美 "베네수엘라 여행금지"…여행경보 최고등급으로 올려

    미국 국무부는 27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에 대한 자국민 여행 경보와 관련, '여행금지'를 의미하는 최고등급(4단계)으로 올렸다. 국무부는 부당한 구금과 고문, 테러, 납치 등의 우려와 불공정한 법집행 관행, 폭력 범죄, 사회적 불안, 부적절한 보건 서비스 등을 이유로 거론하며 베네수엘라에 대해 이같이 여행 경보를 상향했다고 밝혔다.

  • 美보건장관 "코로나백신, 건강한 아동·임산부엔 접종권고 중단"

    미국 보건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복지부 장관은 27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과 동영상에서 건강한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고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 하버드 재학생 수백명, 反트럼프 시위…"학생들 건드리지 말라"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 있는 미국 아이비리그의 명문 하버드대학교 학생들이 항의 시위를 개최했다. 27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보스턴 하버드대 캠퍼스에선 수백 명의 학생들이 모여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를 비판했다.

  • "아침 먹을 시간도 없다"는 그녀의 정체…'北노트북 농장주'

    "고객들이 난리야. 아침 차려 먹을 시간도 없어요". '컴퓨터 업계'에서 일한다는 50세 미국 여성 크리스티나 채프먼이 2023년 6월, 팔로워 10만 명의 소셜미디어 틱톡 계정에 올린 동영상에서 이렇게 푸념한다. 수많은 고객의 성화에 제대로 된 식사조차 어렵다는 자랑 아닌 자랑이다.

  • "美, 유학생 SNS 심사 의무화 추진…유학비자 인터뷰 일시 중단"

    미국 당국이 미국에 유학하려는 학생에 대해 소셜미디어(SNS) 심사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관련 외교 전문을 입수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미 국무부는 이 같은 제도 도입을 준비하기 위해 전 세계 외교 공관에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 "유식한 표현 쓰다 제발목 잡았나"…'선거패배' 美민주당의 자성

    지난해 대선에서 정권을 내주고 연방의회에서도 소수당이 된 미국 민주당에서 유권자 눈높이에 맞춘 표현과 단어를 사용하자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진보세력의 대부로 불리는 무소속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의 전국 순회 연설회를 계기로 이 같은 자성론이 확산했다.

  • 미국에서 부쩍 눈에 띄는 '메이드 인 코리아'

    구글 뉴스 사이트에서 'Korea'를 검색하면 예전에는 북한 관련 뉴스가 압도적이었데, 요즘은 한국 스타들에 관한 뉴스도 상당히 많다. 미국에 체류 중인 특파원으로서 필자는 현지 매체들이 한국 문화나 한류 관련 뉴스를 어떻게 다루는지 보기 위해 'Korean Star' 같은 검색어로 외신 기사들을 살피는데, 지난달 말에는 미국 유력 매체들이 전자상거래 사이트 아마존의 할인행사를 소개하며 일제히 한국 제품들을 추천한 내용이 눈에 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