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5년 만에 유죄 평결 단죄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생가에서 475만 파운드(약 90억원) 상당의 '황금 변기'(사진)를 훔쳐 팔아 치운 일당이 범행 5년여 만에 법의 단죄를 받게 됐다. 영국 옥스퍼드 형사법원 배심원단은 18일 마이클 존스(39)와 프레데릭 도(36)에 대해 각각 '황금 변기' 절도에 공모한 혐의로 유죄 평결을 내렸다.

  • 고수익 병원 ‘알바’ 모집 화제

    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ESA는 지난 13일 공식 블로그에 프랑스 툴루즈에 있는 메데스(MEDES) 우주 병원에서 우주 생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는 ‘비발디(Vivaldi) 3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에 대상자로 선정되면 열흘간 물침대에 누워있는 대가로 800만원 가까운 돈을 받을 수 있다.

  • 월드컵 연다고…개 300만마리 총살-독살

    스페인, 포르투갈과 함께 '2030 피파(FIFA) 월드컵'개최국에 선정된 모로코가 월드컵이 열리는 2030년까지 총 300만 마리를 목표로 대대적인 유기견 학살에 나서 비난이 일고 있다. 16일 국제동물복지보호연합(IAWPC) 등에 따르면, 모로코는 길거리를 깨끗하게 만든다는 명분으로 2030년까지 길거리 개 총 300만 마리를 도살할 계획이다.

  • 대만, 中 2027년 침공 대비한다…올해 군사훈련에 침공연도 상정

    대만이 중국의 2027년 침공을 가정해 올해 연례 합동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이 19일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대만 국방부는 최근 입법원(국회)에 제출한 업무 보고서에서 연례 한광훈련과 관련해 올해는 처음으로 중국의 침공 연도를 상정해 실시한다고 밝혔다.

  • "고기 20인분 초벌구이 해놨는데 연락 차단"

    손님이 갑자기 예약을 취소하거나 연락도 없이 당일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쇼'(no-show·예약 부도) 때문에 식당 주인들의 시름이 깊어진다. 음식점·카페·제과점 등 외식업계 종사자들은 경제 불황으로 손님이 줄어든 상황에서 노쇼 피해가 고통을 더한다고 입을 모았다. 업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예약을 앞두고 준비한 식재료를 전부 버려야 하는 상황을 가장 큰 고충으로 꼽았다.

  • 제주4·3 세계기록유산 등재 전망…77주년 앞두고 제주 기대감

    제주4·3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는 소식에 제77주년 제주4·3희생자추념일을 앞둔 제주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9일 유네스코에 따르면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제주 4·3사건 기록물''에 대해 등재를 권고했다.

  • 가자지구 휴전 두달만에 파국…이스라엘 "전투 복귀"

    이스라엘의 전격적인 가자지구 대규모 공습으로 수백명의 사상자가 나오면서 휴전이 발효 2개월 만에 파국을 맞았다. 지난 몇 주간 이어진 휴전 연장 논의가 교착에 빠진 가운데 이스라엘이 공습 후 추가 군사작전을 예고하면서 가자지구가 다시 포화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 "휴대전화 갖고 있다" 유명가수 협박해 5억원 요구한 일당 검거

    유명 가수의 휴대전화를 입수한 뒤 사생활 사진을 유출하겠다며 협박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19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강남경찰서는 가수 A씨를 상대로 협박한 혐의로 B씨 등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들은 A씨가 이전에 사용하던 휴대전화를 우연히 습득해 개인정보와 사생활 사진 등을 유출하겠다고 협박하며 현금 5억여원을 요구한 혐의를 받는다.

  • 우주서 발묶였던 美우주비행사들, 플로리다 앞바다에 무사 안착

    지난해 6월 미국 보잉사의 우주캡슐 '스타라이너'를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시험비행을 떠났다가 예기치 않은 문제들로 장기간 발이 묶인 우주비행사 2명이 9개월여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18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과 스페이스X는 ISS에 체류하던 부치 윌모어(62)와 수니 윌리엄스(59) 등을 태운 우주캡슐 드래건이 지구로 돌아오는 모습을 생중계했다.

  • 법 위에 트럼프…'행정권 독주 선넘었다' 헌정위기 논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가 사법부 명령을 무시하는 사례가 부쩍 늘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미국 헌법에 명시된 권력 분립,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훼손돼 국가 기능이 차질을 빚는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경고가 현지 유력언론들에서 나오고 있다.